Chapter 2. 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
1. 물리 데이터 모델 설계
1) 물리 데이터 모델링 개념
: 논리모델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술에 맞도록 상세화해 가는 과정
2) 물리 데이터 모델링 변환 절차
: 개체를 테이블로 변환
: 속성을 컬럼으로 변환
: UID를 기본키로 변환
: 관계를 외래키로 변환
: 컬럼 유형과 길의 정의
: 반 정규화 수행
2. 물리 데이터 저장소 구성
1) 참조무결성 제약 조건
: 릴레이션과 릴레이션 사이에 대해 참조의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
2) 인덱스(Index) 개념★
: 검색 연산의 최적화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 열에 대한 정보를 구성한 데이터 구조
3) 인덱스 적용 기준
: 인덱스의 적정한 분포도는 10~15%
4) 파티셔닝 유형 - 레 해 리 컴
: 레인지 파티셔닝 / 해시 파티셔닝 / 리스트 파티셔닝 / 컴포지트 파티셔닝
'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4. 통합구현 - Chap 1. 연계 데이터 구성 (0) | 2021.06.17 |
---|---|
3. 데이터 입출력 구현 - Chap 3. 데이터베이스 기초 활용하기 (0) | 2021.06.15 |
3. 데이터 입출력 구현 - Chap 1.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(2) (0) | 2021.06.15 |
3. 데이터 입출력 구현 - Chap 1. 논리 데이터 저장소 확인 (0) | 2021.06.11 |
2. 화면 설계 - Chap 2. UI 설계(2) (0) | 2021.06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