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정보처리기사

5. 인터페이스 구현 - Chap 1.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

by Elin J 2021. 6. 18.

Chapter 1. 인터페이스 설계 확인

1. 외부, 내부 모듈 간 공통 기능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 확인


1)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별 인터페이스 산출물

분석 단계 인터페이스 정의서
명세 단계 인터페이스 명세서
설계 단계 - 인터페이스 설계서 (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와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)
- 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= 시스템 인터페이스 목록 + 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
(인터페이스 ID별 별개 정의서)로 구성
- 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(=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정의서)는 각 기능의 세부 인터페이스 정보 정의 

 

 

 

2. 외부 및 내부 모듈 연계를 위한 인터페이스 기능 식별


2) EAI 개념★
  :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전달, 연계,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

3) EAI 구축 유형★ - 포, 허, 메, 하

  : 포인트 투 포인트 / 허브 앤 스포크 / 메세지 버스 / 하이브리드 

4) ESB 개념
  :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

  서비스 중심의 토합을 지향하는 기술  -> 느슨한 결합

 

 

3. 외부 및 내부 모듈 간 인터페이스 데이터 표준 확인


5)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
  - 상호 연계하고자 하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활동

  - 동일하면 그대로 전송, 동일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변환하여 전송
     L 송.수신 공통의 영역 추출 혹은 한쪽데이터 변환

 

6) 송수신 시스템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차
  -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/출력 의미 파악을 통한 데이터 표준 확인 - 80%

  -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한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 식별 -20%

  - 데이터 표준 최종 확인 -100%